본문영역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하단링크 바로가기
표지

문학

영주 외나무다리 마을 무섬 알방석댁 이야기 : 한국 격동기(1930~1970)를 시골 여인의 관점으로 기록한 자화상
  • 발 행 처 열린세상 / 발행일자 : 2023
  • 저자 박명서, 김규진 지음
  • 도서관명 제천시립도서관
  • 형태사항 21 cm / 264 page
  • ISBN 9791190631709
  • 가격 15,000원
  • 재체구분 인쇄자료(책자형)
소장정보
  • 등록번호
    CM0000161187
  • 청구기호
    종합자료실
  • 대출가능여부
    대출가능
  • 반납예정일
    -
  • 상호대차
  • 예약 가능여부
책소개
한 시골 여인이 겪은 1930~70년의 대한민국 시골의 일상적인 모습. 이 책은 어머니와 아들이 함께 만든 책이다. 1917년에 태어난 박명서가 1977년 만 60의 나이로 세상을 떠났을 때 까지를 자신의 생을 기록한 책이다. 이 책의 공동 저자이며, 셋째 아들이자 장남 역할을 한 김규진(한국외대 명예교수)의 손에 어머니의 자서전이 남겨졌다. 그 자료는 대한민국에서 보기 드문 희귀 자료 중의 하나일 것이다. 어머니의 자서전을 소중하게 생각했던 김규진 교수는 동시대를 살아가는 사람들이 자신들의 어머니의 모습을 이 글 속에서 볼 수 있으며 어머니에 대한 향수를 강하게 느낄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하였고, 소실된 것들은 기억을 더듬어 복원하면서 책으로 편집하였다. 김규진 교수는 물론 원글을 그대로 남기고 싶었지만 약간의 교정을 볼 수밖에 없었다. 공동 저자인 박명서는 경상북도 영주 지방의 외나무다리 마을이라는 무섬 마을에서 한 평생을 남편과 자식들을 위해 살아왔다. 바로 그곳에서 대한민국의 격동기인 일제강점기, 해방, 6,25 전쟁, 유신정권을 겪었다. 그 시절의 생활 모습을 덤덤하게 그리고 있다. 그동안 이 시기를 지내온 지식인과 유명인들이 저마다의 기록이 남아있지만 평범한 한 시골 여인으로서 이 기록을 남긴 사람은 없다. 우리는 책 속에서 그 당시 격동하던 대한민국의 정치가 어떻게 시골에 영향을 미쳤으며, 어떤 면에서는 전혀 영향이 없는듯 지나가는 모습을 관찰할 수 있다.
목록